-
2024 갑진년 용띠 자기계발을 위한 계획 그리고 실행!라이프 2023. 12. 16. 11:49
불혹(不惑)의 나이가 어느덧 코앞에 다가오고 있습니다. 학창 시절 오지 않을 것 같았던 순간순간이 제 인생에 찾아오는 것을 보고 세상은 죽음 앞에서 공평하다는 뜻이 뭔지는 조금을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급함까지 동시에 느껴지는 나이가 되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100세 시대라고 해서 더 이상 평생직장은 없다는 것을 이미 어른들을 보면서 배우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움을 게을리하면 안 되고 끊임없이 배우는 자세로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것이 하나의 덕목이 아닌 필수가 되는 것 같습니다.
2024 갑진년 용띠 자기 계발을 위한 저의 소소한 계획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자격증
요즘 새삼스럽게 느끼는 것이 나이가 들수록 학벌은 점점 그 효과와 기대치가 미미해지는 것 같습니다. 젊은 날 아무리 좋은 학벌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나이 앞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있으면 좋지만, 그것보다는 더욱더 확실한 것이 필요한 시대인 것 같습니다. 저는 그것이 전문 자격증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이, 학벌, 경력 상관없이 정말 좋은 자격증 하나만 있으면, 모든 것을 뛰어넘고 기회가 온다고 생각합니다. 학벌은 그 사람의 능력에 대해서 주관적이지만, 자격증은 정확한 기준이 있기 때문입니다. 요즘 의대쏠림현상도 결국은 의사자격증이라는 확실한 보증수표가 있기 때문에 인기가 많은 게 아닐까요? 그래서 2024년부터는 퇴직 전까지 제가 취득할 자격증에 대한 사전 조사와 공부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회사를 다니지만, 길어봐야 50에는 나와야 하지 않을까요? 저는 현재 IT업계에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노후까지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Professional Engineer Computer System Application)를 취득하려고 합니다.
개발&수학
개발자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은 끊임없는 배움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패스트캠퍼스 강의를 신청해서 프론트엔드 개발과 관련된 10가지 프로젝트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을 비롯한 기술의 발전은 정말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IT업계에서 배우지 않고 실력이 부족하면 언제든지 도태될 수 있기 때문에 저는 이러한 노력을 꾸준히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개발하다 보니, 사고력, 논리력 등 장시간의 생각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감각들을 가장 잘 키울 수 있는 것이 바로 수학이라고 생각합니다. 수학적 사고는 인생을 살면서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정제승의 50일 수학 강의를 듣고 있으며, 점차 수능수학까지 공부하려고 합니다.
사진&독서
사진은 인생을 기록하는 정말 중요한 미디어매체라고 생각합니다. 사진을 통해서 인생의 순간순간을 기록할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사진 결과물은 또 하나의 금전적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진 촬영과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리고 독서도 꾸준히 하려고 합니다. 특히, 역사공부를 통해서 인간사회를 공부하고 싶습니다. 2024년도 어느 순간 훌쩍 지나가리라 생각 듭니다. 이제 나이가 들어보니 하루하루 1년이 정말 소중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대학원 진학에 대한 고민과 선택과정 (4) 2023.06.18